2023년 개봉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서울에 대지진이 발생한 이후, 살아남은 자들이 마지막으로 남은 아파트에 모여 생존을 도모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 사회의 본성과 권력의 탄생을 날카롭게 묘사한 재난 드라마입니다.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 등 탄탄한 배우진이 출연한 이 작품은 단순한 재난영화의 외피를 두르고 있지만, 실상은 생존을 위한 집단과 개인의 심리, 윤리의 붕괴, 그리고 ‘우리는 누구를 받아들일 것인가’라는 공동체의 조건을 파헤친 철학적 질문으로 가득합니다.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결말을 중심으로, 작품이 우리에게 남긴 메시지와 사회적 함의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살아남은 자들의 도시, 선택된 공간의 잔혹한 생존법
영화는 한 순간에 서울이 무너지고, 유일하게 멀쩡하게 남은 황궁아파트가 생존자들의 피난처가 되면서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혼란 속에서 공동체를 만들고 서로를 돌보던 사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식량과 공간이 부족해지자 점차 외부인을 배척하기 시작합니다. 중심에는 아파트 주민 대표인 ‘영탁’(이병헌 분)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질서를 위해 주민들을 조직하고 외부 침입을 막기 위한 보안 체계를 구축하지만, 점차 그의 권력은 독재로 변질됩니다. 그는 외부인들을 ‘위협’으로 규정하며 강제로 쫓아내고, 내부에서도 반대 의견을 제압하며 권력을 유지합니다. 영화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쉽게 타인을 배제하고, 자신이 속한 집단의 생존을 위해 잔인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인공 ‘민성’(박서준 분)과 ‘명화’(박보영 분) 부부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갈등을 겪으며, 집단의 편에 설 것인가, 인간성을 지킬 것인가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점점 외부인에 대한 적대감은 아파트 주민 전체에 퍼지고, 결국 공동체는 스스로의 윤리마저 붕괴시키며 ‘살아남은 자만이 정의’라는 기괴한 논리에 이르게 됩니다.
결말 해석: 폐허 위에 남겨진 유토피아의 실체
영화 후반부, 아파트 내부의 권력 구조는 붕괴 직전까지 치닫습니다. 영탁은 자신의 독단과 폭력성을 더는 숨기지 못하고, 결국 내부 반란과 무력 충돌로 이어지며 비극적인 결과를 맞습니다. 민성은 더 이상 침묵하지 않고, 공동체의 잘못된 선택을 바로잡기 위해 움직이지만 이미 많은 것은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이릅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명화는 폐허가 된 도시 위에서 아이를 안고 떠나며 살아남은 자로서의 무게를 감당하려 합니다. 그리고 카메라는 잿빛 도시에 남겨진 황궁아파트를 천천히 비추며 마무리됩니다. 이 결말은 ‘유토피아’라는 말이 현실에서 얼마나 허망한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배제와 폭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고발합니다. 영화 속 유토피아는 단지 ‘안전한 장소’였을 뿐, 그 안에서 벌어진 일은 결코 이상적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극한 상황 속 인간 본성이 드러난 디스토피아에 가까웠습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그러한 현실을 냉정하게 들여다보며, 재난보다 더 두려운 것이 인간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남깁니다.
사회적 메시지와 관객 반응: 유토피아는 누구의 것인가
영화는 단순한 재난극의 외형을 취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국 사회의 계층 문제, 이기주의, 집단 심리를 날카롭게 해부한 정치적 영화에 가깝습니다. 관객들은 “단순한 생존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은유한 영화”, “이병헌의 연기가 소름 돋는다”, “내가 그 아파트 주민이었다면 어떻게 했을까 생각하게 된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특히 이병헌은 카리스마와 불안정함이 공존하는 인물을 통해 권력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또 얼마나 쉽게 사람을 무너뜨릴 수 있는지를 설득력 있게 표현해내며 극찬을 받았습니다. 영화의 공간 배경인 ‘황궁아파트’는 단순한 주거지가 아닌, 권력의 상징으로 작동하며 영화 전반을 지배하는 상징적 구조물로 기능합니다. 한정된 공간, 제한된 자원, 외부와 단절된 공동체는 실제 사회의 축소판처럼 묘사되고, 이는 코로나19 이후 변화한 인간관계와 공동체 개념에 대한 질문으로까지 이어집니다. 일부 관객은 다소 비관적이라는 평을 하기도 했지만, 바로 그 점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상향은 단지 구조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가느냐’의 문제라는 것, 그리고 그 안에서 선택받지 못한 자들은 언제든 배제될 수 있다는 냉혹한 현실을 상기시키는 영화입니다. 결국 이 작품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우리가 만들고 있는 유토피아는 과연 누구의 것인가?”라는 물음을 던지며 긴 여운을 남깁니다.
댓글